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📌 전세계약 특약 7가지 총정리

by 광교이모 2025. 2. 24.
반응형

전세 계약 시 특약 사항을 추가하면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!
아래 꼭 넣어야 할 특약 조항 7가지를 확인하고, 안전한 계약을 진행하세요.


1. 근저당권 추가 설정 금지

📌 "계약 이후 임대인은 본 건물에 추가로 근저당권을 설정할 수 없다. 이를 위반할 경우 임차인은 즉시 계약 해지를 요구할 수 있으며, 임대인은 보증금을 반환해야 한다."

🔹 왜 필요할까?
✔️ 계약 후 집주인이 추가 대출을 받으면 보증금 반환이 어려워질 수 있음
✔️ 깡통 전세(매매가보다 전세가가 높은 상황) 위험 방지


2. 전세보증보험 가입 보장

📌 "임대인은 임차인의 전세보증보험 가입을 보장하며, 가입이 거절될 경우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."

🔹 왜 필요할까?
✔️ 전세보증보험(HUG, SGI서울보증) 가입 시 보증금을 안전하게 돌려받을 수 있음
✔️ 보험 가입 거절될 정도로 위험한 집이면 계약 해지 가능


3. 보증금 반환 시점 명확화

📌 "임대인은 계약 종료 후 (날짜) 이내에 보증금을 반환해야 하며, 이를 위반할 경우 임차인은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."

🔹 왜 필요할까?
✔️ 집이 안 나가면 보증금 반환을 미루는 경우 많음
✔️ 반환 기한을 명확히 하면 지연 방지


4. 임차권등기명령 신청 허용

📌 "계약 종료 후 보증금 반환이 지연될 경우, 임차인은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할 수 있으며, 임대인은 이에 협조해야 한다."

🔹 왜 필요할까?
✔️ 보증금이 늦게 돌아와도 이사를 가야 할 때 필요
✔️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하면 이사 후에도 보증금 반환 가능


5. 수리 및 하자보수 책임 명확화

📌 "입주 후 (30일) 이내에 발견된 하자에 대해 임대인은 수리 의무를 가지며, 미이행 시 임차인은 보증금에서 공제 후 수리할 수 있다."

🔹 왜 필요할까?
✔️ 곰팡이, 누수, 보일러 고장 등 입주 후 문제 발생 시 해결 가능
✔️ 집주인이 수리를 미루면 보증금에서 비용 공제 후 수리 가능


6. 임대인의 계약 해지 제한

📌 "임대인은 임차인의 귀책사유가 없는 한 계약 기간 내 일방적으로 해지할 수 없다."

🔹 왜 필요할까?
✔️ 집값이 오르면 집주인이 계약을 해지하고 더 높은 가격에 계약하려는 경우 방지
✔️ 세입자의 안정적인 거주권 보장


7. 중개 수수료 및 계약 위반 시 책임 명시

📌 "계약이 임대인의 귀책사유로 인해 해지될 경우, 중개 수수료 및 기타 손해 비용은 임대인이 부담한다."

🔹 왜 필요할까?
✔️ 계약이 취소되면 새로운 집을 찾는 비용 부담 방지
✔️ 집주인이 일방적으로 계약을 파기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음


🔎  전세 계약 시 특약 넣는 방법!

1. 계약 전 공인중개사에게 특약 포함 요청
2. 계약서에 직접 특약 조항 추가 & 임대인 서명 받기
3. 임대인과 분쟁 방지를 위해 계약서 사본 보관

📌 주의!
✔️ 계약서에 특약이 없으면 나중에 법적으로 보호받기 어려움
✔️ 서명 후에는 내용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미리 협의 필수


📌 전세 계약 시 꼭 넣어야 할 특약 총정리

근저당 추가 설정 금지 → 깡통 전세 방지
전세보증보험 가입 보장 → 보증금 안전 보장
보증금 반환 시점 명확화 → 지연 방지
임차권등기명령 신청 허용 → 이사 후 보증금 반환 가능
수리 및 하자보수 책임 → 입주 후 하자 발생 시 해결
임대인의 계약 해지 제한 → 세입자 안정적 거주 보장
중개 수수료 및 계약 위반 책임 명시 → 계약 취소 시 비용 부담 방지

📢 전세 계약 시 특약을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보증금을 지킬 확률이 높아집니다!
계약 전 꼭 이 7가지 특약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계약하세요! 😊

반응형